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는 기원전 261년부터 기원전 246년까지 재위한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이다. 그는 아버지 안티오코스 1세보다 넓은 영토를 통치했으나, 박트리아와 파르티아가 독립하는 등 분열을 겪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제2차 시리아 전쟁을 일으켜 소아시아와 페니키아 해안 지역을 탈환하고 '테오스'라는 칭호를 얻었다. 기원전 253년 이집트와 평화 조약을 맺고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딸 베레니케와 결혼했으나, 프톨레마이오스 2세 사후 전처 라오디케와 재결합하면서 베레니케와 그의 아들을 살해당하고 자신도 독살당했다. 그의 죽음은 제3차 시리아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으며, 동방 정책과 관련하여 박트리아와 파르티아의 독립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46년 사망 -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의 파라오로서 군사적, 외교적 활동과 홍해 무역로 개척,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후원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며, 학문과 예술을 장려하여 헬레니즘 문화를 발전시켰다. - 그리스의 인물신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 그리스의 인물신 - 안티누스
안티누스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총애를 받은 비티니아 출신 젊은이로, 황제와 동성애 관계였으며 의문사 후 신격화되어 로마 제국에서 숭배받고 예술적 영감을 주며 동성애 문화의 아이콘으로 남았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바실레우스 |
통치 기간 | 기원전 261년 6월 2일 – 기원전 246년 7월 |
이전 통치자 |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
다음 통치자 |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 |
배우자 | 라오디케 1세 베레니케 |
자녀 | 라오디케와의 사이: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 안티오코스 히에락스 아파마 카파도키아의 스트라토니케 라오디케 베레니케와의 사이: 안티오코스 |
왕가 | 셀레우코스 왕조 |
왕조 유형 | 왕조 |
아버지 |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 |
어머니 | 스트라토니케 |
출생일 | 기원전 286년 |
출생지 | 시리아 |
사망일 | 기원전 246년 7월 초 (39–40세) |
사망 장소 | 소아시아 (현재의 튀르키예) |
종교 | 그리스 다신교 |
이름 | |
그리스어 음역 | Antíochos ho Theós |
기타 정보 |
2. 생애
안티오코스 2세는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와 스트라토니케의 아들로, 처음에는 왕위 계승 예정자가 아니었으나 기원전 267년 그의 형 셀레우코스가 반역 혐의로 처형되면서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4]
아버지 안티오코스 1세보다 넓은 영역을 통치했으나, 그의 치세에 박트리아, 파르티아가 독립하면서 분열이 시작되었다. 안티오코스 2세는 부왕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빼앗긴 영토를 탈환하기 위해 제2차 시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2세로부터 소아시아의 밀레투스, 에페소스와 페니키아 해안 지역 등을 탈환하고 밀레토스의 신왕(테오스) 칭호를 얻었다.
기원전 253년,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딸 베레니케 페르노포로스와 결혼하며 이집트와 평화조약을 맺었다. 그러나 기원전 246년 프톨레마이오스 2세가 죽자, 이혼했던 전처 라오디케 1세와 재결합하면서 베레니케와 라오디케 간의 갈등이 깊어졌다. 결국 라오디케는 베레니케와 그 아들을 살해했고, 안티오코스 2세도 독살했다.[18] 이후 라오디케는 자신의 아들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를 즉위시켰다. 베레니케의 죽음에 분노한 이집트 신왕 프톨레마이오스 3세(베레니케의 형제)는 시리아를 공격하여 제3차 시리아 전쟁이 발발했다.
2. 1. 통치
안티오코스 2세는 아버지 안티오코스 1세보다 넓은 영역을 통치했으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박트리아와 파르티아가 독립하면서 제국의 분열이 시작되었다.[18] 그는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의 지속적인 긴장 관계를 물려받았고, 제2차 시리아 전쟁과 제3차 시리아 전쟁을 치렀다.안티오코스 2세는 트라키아에도 관심을 가졌으나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비잔티움에서 그의 이름으로 된 동전이 잠시 발행되기도 했다.[18]
2. 1. 1. 제2차 시리아 전쟁
안티오코스 2세는 아버지 안티오코스 1세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기원전 260년부터 기원전 253년까지 제2차 시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이 전쟁을 통해 소아시아의 밀레투스, 에페소스와 페니키아 해안 지역 등을 프톨레마이오스 2세로부터 탈환하고 밀레토스의 신왕(테오스)이라는 칭호를 얻었다.[18]기원전 253년, 안티오코스 2세는 이집트와 평화 조약을 맺고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딸 베레니케 페르노포로스와 결혼했다.[18] 이 전쟁은 주로 소아시아 해안을 따라 벌어졌으며, 안티오코스 2세는 소아시아에서 약간의 이득을 얻고 밀레투스와 에페소스를 점령하여 에게해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8] 그는 전쟁 중에 '테오스'(Θεός|신grc)라는 칭호를 얻었는데, 이는 폭군 티마르쿠스를 죽인 밀레투스인에게서 받은 것이었다.[18]
2. 1. 2. 이집트와의 평화 조약과 갈등
기원전 253년, 안티오코스 2세는 이집트와 평화 조약을 맺고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딸 베레니케 페르노포로스와 결혼했다.[18] 이 결혼의 조건으로 안티오코스 2세는 전처 라오디케 1세와 이혼하고, 베레니케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가 왕위를 상속받도록 했다. 라오디케는 이혼 조건으로 헬레스폰트(다르다넬스)에 있는 대규모 영지를 포함하여 아나톨리아 전역의 다양한 토지를 증여받았고, 키지쿠스, 일리온 및 카리아 근처의 재산과 다양한 영토의 수입, 세금 면제 혜택도 받았다. 그녀의 토지 소유권은 왕실 소유로 간주되었다.기원전 246년 프톨레마이오스 2세가 사망하자, 안티오코스 2세는 베레니케와 어린 아들을 안티오키아에 남겨두고 소아시아에 있는 라오디케와 다시 결합했다. 이로 인해 베레니케와 라오디케의 갈등은 깊어졌고, 라오디케는 베레니케와 그녀의 아들을 살해했으며, 안티오코스 2세도 독살했다는 혐의를 받았다.[18] 라오디케는 자신의 아들 셀레우코스 2세 칼리니코스를 왕위에 올렸다.
베레니케가 살해당하자 이집트의 새로운 왕 프톨레마이오스 3세(베레니케의 형제)는 분노하여 시리아를 공격했고, 이는 제3차 시리아 전쟁(기원전 246년 – 기원전 241년)으로 이어졌다.
2. 1. 3. 제3차 시리아 전쟁
기원전 246년, 프톨레마이오스 2세가 사망하자, 안티오코스 2세는 이혼했던 전처 라오디케 1세와 재결합했다. 이로 인해 베레니케와 라오디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라오디케는 베레니케와 그녀의 아들을 살해했고, 안티오코스 2세도 독살했다.[18] 라오디케는 자신의 아들 셀레우코스 2세를 왕위에 올렸다.베레니케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에 분노한 이집트의 새로운 왕 프톨레마이오스 3세(베레니케의 오빠)는 시리아를 공격했다. 이로써 제3차 시리아 전쟁(기원전 246년 – 기원전 241년)이 시작되었다.
2. 2. 동방 정책
안티오코스 2세의 동방 정책과 관련하여, 미디아, 파르티아, 박트리아, 페르시스와 같은 동부 상부 사트라피에서 그의 활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안티오코스 2세는 동지중해에서의 분쟁과 가족 문제에 주로 몰두하여, 디오도토스와 안드라고라스와 같이 자율적인 인물들을 그 지역의 사트라프로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 두 임명은 결국 독립적인 그레코-박트리아 왕국과 파르티아 제국의 건국으로 이어졌다.[15] 또한 안티오코스 2세의 박트리아 주화의 양은 그의 아버지의 그것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했는데, 이는 학계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야심 찬 사트라프들이 안티오코스 2세의 부재를 틈타 안티오코스 2세 생전에도 독립을 공개적으로 선포하지 않고 중앙 정부와의 관계를 점차 약화시켰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인기 있는 왕의 사후 주조는 헬레니즘 시대에 비교적 흔한 관행이었고, 안티오코스 2세는 자신과 자신의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자신의 반소그디아인 아버지의 이름으로 주화를 주조했을 수도 있다.[15]2. 3. 인도와의 관계 (불확실성)
아소카 대왕의 불교 포교 수혜자 중 한 명으로, 아소카의 칙령에 언급된 안티오코스가 누구인지는 불확실하다.[17] 하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곳에 언급된 그리스 왕이 안티오코스 2세의 아버지인 안티오코스 1세 소테르이며, 그가 동방과 더 가까웠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6][17]참조
[1]
서적
Inscriptions of Asoka. New Edition by E. Hultzsch
https://archive.org/[...]
1925
[2]
웹사이트
Antiochus II Theos
https://www.livius.o[...]
[3]
간행물
Seleucid Dynasty s.v. Antiochus II. Theos
[4]
웹사이트
Johannes Malalas - translation
http://www.attalus.o[...]
2021-10-09
[5]
문서
Syriaca
[6]
웹사이트
Dr. Jordan Iliev. "The Campaign of Antiochus II Theos in Thrace" - History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istory, 2013, 5/1, pp. 211-222.
http://www.historyst[...]
[7]
문서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A-D
[8]
서적
Kings and colonists: aspects of Macedonian imperialism
[9]
서적
A Seleukid prosopography and gazetteer
[10]
웹사이트
Laodice I article at Livius.org
https://www.livius.o[...]
2020-03-26
[11]
서적
The Seleukid royal economy: the finances and financial administration of the Seleukid empire
[12]
서적
Kings and colonists: aspects of Macedonian imperialism
[13]
웹사이트
The Mausoleum of Antiochus II Theos
https://www.livius.o[...]
2020-03-26
[14]
웹사이트
E. R. Bevan: The House of Ptolemy • Chap. VI
https://penelope.uch[...]
[15]
문서
Thundering Zeus
Berkeley
1999
[16]
문서
Translation of Jarl Charpentier 1931:303-321.
[17]
논문
"Antiochus, King of the Yavanas"
1931
[18]
서적
ギリシア文化史8
筑摩学芸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